정월은 1월을 의미하고, 보름은 15일간을 의미하며, 달리 보름달 즉 달이 가장 크게 뜨는 날입니다.

 

오늘 날에는 별 의미 없는 달의 공전과 지구의 자전으로 일어나는 달의  반사광으로 인한 현상이라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이지만,

 

과학이 발전하기 전 각종 샤머니즘과 음양오행 등에 의해 새해 첫 보름달은 한 해의 운수와 풍요를 기원하는 날로써 상당한 의미가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은, 일년의 처음 보름달이 뜨는 날을 의미하며,

 

도교의 영향으로 중국에서는 상원, 일본에서는 소정월로 부르며,

 

대보름을 특별한 날로 삼는 것은 태음력을 사용하는 문화권에서 나타납니다.

 

 

 

달은 음기로 보아 보름은 한 달중 음기가 가장 강한날이고 정월대보름은 한해를 처음 맞는 날로써, 부럼을 깨어 악귀를 쫒거나, 지신에게 고사를 올리거나, 연을 날리고 연줄을 끊거나, 달집을 태워 액운을 내쫒는 등 액운과 악귀를 멀리하려는 풍습이 많고,

 

한편으로는 해가 바뀌고 처음 뜨는 대지와 풍요의 달님에게 오곡밥을 짓고 말린나물과 묵은 나물을 무쳐먹고 약밥을 하여 까마귀에게 대접하며 한 해의 축복을 비는 날이기도 합니다.

 

 

 

 

 

 

음기가 가장 강한 날임으로 통상 악귀나 액운을 쫒는 풍습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음기가 강한 날 오히려 일찍 일어나고, 부지런하게 하루를 보내려는 흔적이 있습니다.

 

 

 

 

아침일찍 일어나서 부럼을 깨뜨리는데,

 

부럼은 대보름 이른 아침에 생밤, 호두, 땅콩 같은 견과류를 깨물어 부스럼을 옮기는 악귀가 놀라 도망치게 하였으며,

 

신라시대때부터 까마귀 전설과 연관하여 찹쌀로 약밥을 지어 감사를 전하고,

 

아침 식사 전 귀밝이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한 해동안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다라고 믿었습니다.

 

 

 

 

식사로는 오곡밥을 짓게 되는데, 오곡은 쌀, 보리, 조, 콩, 기장 다섯 곡식을 말하며, 오곡밥 역시 위의 까마귀 전설에 연관하여 찹쌀로 찰밥을 하였다라는 말도 있고,

 

오곡밥은 약밥을 짓는데 필요한 잣, 대추, 밤 등을 일반 백성들은 구하기 힘들어 이를 대신하여 오곡으로 밥을 지었다는 말도 있습니다. 

 

 

까마귀 전설은, 신라 21대왕인 비처왕이 순찰을 돌 때 까마귀와 쥐가 나타나 쥐가 까마귀를 따라가라고 하였고, 비처왕은 그 말을 따라 호위에게 까마귀를 따르라고 하였습니다. 까마귀를 따라간 곳에 나타난 것은 경주 어느 산기슭이었고

그 곳의 연못에서 노인이 나타나 뜯어보면 두사람이 죽을 것이고 뜯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라고 라며 두루마리를 건네 주었고, 왕은 두사람은 백성을 뜻하고 한사람은 왕을 뜻한다라는 진언을 들어 두루마리를 펼쳐보니, 금갑을 쏘아라고 하였습니다. 이어 즉시 회궁하여 금갑을 쏘니, 승려와 후궁이 간통하고 있다가 화살에 죽었다고 합니다.

이리하여 왕은 15일을 오기일 즉 까마귀를 기리는 날이라 하여 찰밥을 지어 제사를 지냈다라고 합니다. 말인즉 15일에는 행동을 조심하여야하고, 또 이 날은 슬퍼하거나 근심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오곡으로 밥을 짓고 묵은 나물과 말린 나물을 불려 먹으면서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합니다.

 

이 날은 칼날을 사용하지 않고 조리하기도하고,

 

오곡밥과 관계하여 3가지 성씨 이상의 집에서 먹어야 운이 좋아지고,

 

9번을 먹어야 한다고도 합니다.

 

 

또, 그 날 개에게 밥을 주면 파리가 꾀고, 개가 마른다고 하여 개를 굶겼는데 여기서 나온 말이 "개 보름 쇠듯 한다"라고 합니다.

 

 

 

팥죽은 동짓날 즉 24절기 중 12중기 해당하는 달이 가장 긴 날입니다.

 

이 날은 밤이 가장 길어 음기가 강한 날이되어 잡귀를 쫒기위해 팥죽을 지어 먹습니다.

 

잡귀들이 활동하는 음기가 가장 긴 날 팥을 뿌리고 팥죽을 쑤어 먹었습니다.

 

 

팥은 집안을 지키는 귀신까지도 쫒아낼 수 있음으로, 동짓날에만 사람을 지키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음력 11월 1일 에서 11일 10일 사이에 애기동지때에는 죽을 쑤지 않고 떡을 해 먹기도 합니다.

 

 

정월대보름에 팥죽 얘기가 나오는 것은 아무래도 음기가 강한 날이라 그런가 봅니다만,

 

정월대보름은 음기의 성질이 강하여 악귀가 설치기 좋은 날이고,

 

동지는 밤이 길어 많은 잡귀들이 설치는 날임으로 부럼깨기 등 악귀를 쫒는 것과,

 

새해 첫 보름달에게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것과, 밤이 길어 온갖잡귀들을 쫒기 위해 팥을 뿌리고 팥죽을 쑤어먹는 것의 차이가 날 것 같습니다.

 

 

2020/03/03 - [사회이슈] - 삼겹살 데이 유래

2020/02/07 - [사회이슈] - 우리나라 발렌타인 데이 유래, 왜 여자가 남자에게 초콜릿 선물을?

 

 

 

물론 지금은 터무니 없는 미신이지만 그냥 풍습처럼 내려오는 고유놀이로 큰 의미를 두시지는 않기를 바랍니다.

 

그래도 악귀를 쫒고, 한 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부럼과 오곡밥을 챙겨 먹읍시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